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0월 1일부터 의약품, 주방 캐비닛·욕실 세면대, 가구, 중형 트럭에 각각
고율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25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글을 올려 의약품에 100%, 주방
캐비닛·세면대에 50%, 소파 등 가구에 30%, 중형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는 지난 8월 대규모 관세 정책을 발표한 이후에도 관세 정책에 대한 강한 의지를 재차
드러냈다. 그는 관세가 정부 재정 적자를 줄이고 미국내 제조업을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추가 관세가 이미 높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경기 둔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재화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고 있다”며 “올해 물가 상승분의 ‘대부분, 혹은 전부’가 상품 가격 인상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관세와 관련해 “미국내 제조 공장을 신축 중이거나 착공한 제약사에는
적용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미 미국내에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 어떤 기준이
적용될지는 불분명하다.
미국은 2024년 한 해 동안 약 2,330억 달러 규모의 의약품과 의약 원료를 수입했다. 이에 따라 일부
의약품 가격이 2배로 오를 가능성은 의료비 부담을 크게 늘리고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지출 확대에도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는 또 “외국산 가구와 캐비닛이 미국 시장을 범람시키고 있다”면서 “국가 안보와 기타 이유로
관세 부과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주택 부족과 고금리로 이미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 상황 속에서 주택 건설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형 트럭과 부품의 수입 역시 미국내 업체를 압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피터빌트, 켄워스, 프레이트라이너, 맥 트럭 등 대형 트럭 제조업체들이 외국산 제품의 물량
공세로부터 보호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관세가 기업으로 하여금 미국내 공장에 더 많이 투자하게 만드는 핵심
수단”이라고 주장해왔다. 또 수입업자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와 기업에 전가해 물가가 오를
것이라는 우려도 일축했다.
트럼프는 “미국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은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지표는
다르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 12개월간 2.9% 상승해, 4월 관세 정책이 시작될 당시의 연율
2.3%에서 오히려 높아졌다. 게다가 고율 관세가 제조업 일자리 창출이나 공장 건설로 이어지고
있다는 증거도 없다. 연방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지난 4월 이후 제조업 고용은 4만2,000명
줄었고, 건설업 역시 8,000명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