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 프리츠커(JB Pritzker) 일리노이 주지사가 6일 텍사스 주방위군의 파견을 두고 “텍사스는
일리노이의 일에 끼어들지 말라(Stay the hell out of Illinois’ business)”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는 그렉
애벗(Greg Abbott) 텍사스 주지사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텍사스 주방위군
400명 파견을 승인했다고 밝힌 데 따른 반발이다.
AP와 시카고 지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프리츠커 주지사는 이날 기자들의 질문에 “다시 말하지만,
애벗 주지사는 일리노이의 일에 개입하지 말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대해 텍사스 주지사실 대변인 앤드루 마할레리스(Andrew Mahaleris)는 성명을 내고
“일리노이와 시카고의 자유주의 정부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제대로 지키고 법과 질서를
유지했다면 이런 논쟁은 없었을 것”이라며 맞받았다. 그는 “공공 안전은 모든 선출직 공직자의
최우선 책무다. 제 할 일을 하라(Do your job)”고 비꼬았다.
텍사스주 군사국(Texas Military Department)은 프리츠커 주지사의 발언에 대한 언론의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한편 같은 날, 일리노이주가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연방 소송의 첫 심리에서,
연방지방법원은 텍사스 병력의 즉각 배치를 중단하라는 주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연방법무부 측 변호인은 심리에서 “텍사스 주방위군은 이미 이동 중이며
행정부는 여전히 배치 권한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에이프릴 페리(April Perry) 연방지방법원
판사는 연방정부가 이틀내에 일리노이의 임시 금지명령 요청에 대해 공식 답변을 제출하라고
명령했다.
이로써 행정부가 일리노이와 오레곤 등 민주당 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방위군을 파견하려는 시도가
이어지면서 최근 며칠간 워싱턴 정가는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국 주요 도시의 치안 문제를 명분으로 주방위군을 잇따라 투입하고
있는데 대해 해당주가 반발하고 있기 때문에 촉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에도 워싱턴 D.C.에
방위군을 보내 “범죄 대응”을 지시했다.
오레곤주 티나 코텍(Tina Kotek) 주지사 역시 5일 성명을 통해, “텍사스 병력이 며칠, 내 우리 주로
파견될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코텍 주지사는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구체적 설명이나
인원, 임무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캐린 이머것(Karin Immergut) 연방판사가 9월 28일 오리건
주방위군의 연방화와 포틀랜드 배치를 금지한 판결을 내린 뒤, 행정부가 대신 텍사스와 캘리포니아
방위군 병력을 보내려 한 데 대한 후속 조치다. 이머것 판사는 이에 즉각 추가 명령을 내려 “어떤 주나
연방기관의 방위군도 오레곤에 파견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애벗 주지사는 6일 밤 X(엑스·옛 트위터)에 “대통령이 요청한 대로 연방 공무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텍사스 주방위군 400명의 소집을 전적으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연방 공무원을 지킬
의지가 없다면, 텍사스가 나서도록 방해하지 말라”고도 썼다.
텍사스 군사국은 이날 오전 “아직 어떤 주방위군 구성원도 배치 명령을 받지 않았다”고 밝히며 관련
문의를 주지사실로 돌렸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비트(Karoline Leavitt)는 “트럼프 대통령은 통수권자로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방위군을 소집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포틀랜드의
연방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이 무정부주의자들에 의해 ‘공격받고 있다’”며 “대통령은 연방 건물과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레비트 대변인은 “시카고 등 폭력 범죄율이 높은 도시의 지방정부야말로 연방정부의 도움을
환영해야 한다”면서 “왜 자신들의 도시를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연방의 지원을 걱정하느냐”고
반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