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역에서 주택 압류(foreclosure) 건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
부동산 데이터 분석기관 Attom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미국 내 주택 압류 신청 건수는 10만 1,513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7% 증가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유예 정책이 종료된 뒤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압류 건수, 올해 들어 지속 상승
ATTOM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6월) 동안의 압류 신청은 18만 7,659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2024년 상반기) 대비 약 5.8% 증가한 수치로, 2024년부터 이어진 고금리와 생활비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2025년 9월 한 달간만 3만 5,600건이 넘는 압류 신청이 접수, 2024년 9월보다 약 2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7% 안팎의 모기지 금리가 장기화되면서, 대출 상환이 어려워진 가구가 급격히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노스캐롤라이나도 증가세…샬럿·랄리에 집중
노스캐롤라이나주 역시 전국적 흐름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 사법부 통계(North Carolina Judicial Branch)에 따르면, 2025년 주택 압류 신청 건수는 약 1만 1,400건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수준으로, **샬럿(Charlotte)**과 랄리(Raleigh), 그린스보로(Greensboro) 등 대도시권에서 압류 건수가 집중되고 있다.
현지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노스캐롤라이나는 여전히 신규 주택 수요가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지만, 고금리와 부채 부담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압류 신청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문가 “고금리·물가 상승, 주택시장에 압박”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압류 증가세가 “주택시장 냉각기’의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이 겹치며 가계의 상환 능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연체율(delinquency rate)도 서서히 상승 중이다. 특히 중·저소득층 가구의 피해가 두드러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 시장 분석가 마크 홀랜드(Mark Holland)는 “주택 시장이 완전히 붕괴할 단계는 아니지만, 압류 증가 속도는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며 “금리 인하가 늦어진다면 일부 주택 소유자들은 파산이나 매각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김선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