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연준 의장, “관세 영향으로 인플레이션 다소 높아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23일, 기준금리를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내릴 경우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가 약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연준이 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인하한지 불과 일주일 만에 나온 발언으로,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이날 로드 아일랜드주 상공회의소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인플레이션 위험은 상방으로,
고용 위험은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면서 “금리 완화 속도가 너무 빠르면 물가상승률을 2% 목표
수준으로 안정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다시 긴축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반대로
긴축을 오래 유지하면 고용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최근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관세 효과’를 지목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조사 결과 전반적인 수요 압력보다는 관세 인상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은 일시적일 수 있으나, 공급망에 반영되는데 시간이 걸려
수분기 동안 인플레이션을 높이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파월 의장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단기간 자극하면서도 중기적으로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금리 정책 결정에서 물가 안정과 고용 유지간 균형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