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내 식료품 비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올해 식량 불안정을 겪는 가구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CBS 뉴스가 13일 보도했다.
퍼듀대학교 식품수요분석·지속가능성센터(Center for Food Demand Analysis and Sustainability)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10월 미국 가구의 평균 ‘식량 불안정’ 비율은 14%로 집계됐다. 이는 2024년 12.5%에서 상승한 수치다.
미국의 식량 불안정 비율은 월별로 변동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2022년부터 감소 추세였다. 당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0년만의 최고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체 가구의 평균 15.4%가 식량 불안정을 겪었다.
워싱턴DC 소재 ‘도시 연구소(Urban Institut)’의 푸남 굽타 연구원은 식량 불안정이 다시 증가하는 이유로 팬데믹 이전보다 훨씬 높은 식료품 가격을 꼽았다. 그는 “올해 인플레이션이 크게 둔화했음에도, 우리가 식비로 지출하는 금액은 몇 년 전 수준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고 말했다.
굽타는 또, 2026년에는 식량 불안정 가구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화당이 주도한 ‘크고 아름다운(Big, Beautiful)’ 세제·지출 법안이 올 7월 트럼프 대통령 서명으로 시행되면서, 약 240만명의 SNAP(저소득층 식품지원 프로그램) 수급자가 근로 요건 강화로 인해 지원을 잃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퍼듀대 연구진은 식량 불안정을 “가구 구성원이 균형 잡힌 식사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 또는 “경제적 이유로 식사를 거르거나 적게 먹는 상황”으로 정의한다. 퍼듀대 조사는 미국내 남은 몇 안 되는 전국 규모 식량 불안정 조사 가운데 하나가 됐다. 이는 연방농무부(USDA)가 2001년부터 매년 실시해오던 ‘가구 식량안보(식량 불안정) 조사’를 지난 9월 폐지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시 해당 조사가 “중복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정치적이고, 불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폐지를 단행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CBS 뉴스에 USDA 자료가 “폭넓은 신뢰를 받던 기준”이었다고 반박했다.
크레이그 건더슨 베일러대 경제학 교수는 이를 “식량 불안정의 ‘골드 스탠더드’ 측정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조셉 발락타스 퍼듀대 식품수요분석센터장은 퍼듀대가 월 1,200명을 조사하는 반면, USDA는 매년 3만명을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퍼듀 조사 결과가 USDA 자료와 거의 일치해 왔던 이유는 동일한 질문을 사용하며 표본이 미국 인구 전체를 대표하도록 통계적 보정이 이뤄지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