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최혜국 대우(MFN)’ 약값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미국 의약품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 정책은 미국 약값을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로, 최근 화이자와 자발적 합의를 이뤄내며 진전을 보이고 있다.
MFN 정책, 압박 수단으로 활용
ADVI Health의 린지 그린리프 정책분석 책임자는 “MFN은 트럼프 행정부 약값 정책의 핵심”이라며 “2028년 이후 누가 백악관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구조적 개혁이 될지, 협상 전술로 그칠지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GLOBE와 GUARD라는 두 가지 시범 모델이 검토 중이며, 메디케어 파트 B, 파트 D, 메디케이드에 국제 기준 약가를 적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제약사들이 자발적 가격 합의를 지속한다면 이 모델들이 실제로 시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 화이자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닐 마시아 박사는 “정책의 영향력은 대부분 불확실성에서 나온다”며 “MFN 위협만으로도 이미 제약사들의 행동과 가격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약품 관세, 환자 부담 증가 우려
외국산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안도 논란이다. 밴더빌트대학교 스테이시 두세치나 교수는 “관세가 광범위하게 적용되면 미국 소비자들이 높은 보험료와 본인부담금으로 비용을 떠안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관세 위협이 제약사들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는 데는 성공했다는 평가다.
직접 판매 채널 확대의 양면성
체중감량 약물 등 수요가 높은 의약품의 환자 직접 판매(DTC) 채널도 급증하고 있다. 마시아 박사는 “제약사들이 약국유통관리업체(PBM)의 리베이트 구조를 벗어나려는 전략적 대응”이라며 “환자에게 직접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면 유통 구조가 재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두세치나 교수는 “보험사들이 현금 구매 모델을 이유로 보험 적용을 축소하고 있다”며 “위험한 선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MFN 정책의 세부 사항이 여전히 불명확하다며 신중한 접근을 권고했다. 두세치나 교수는 “뉴스는 빠르게 나오지만 세부 내용은 부족하다”며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