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모든 국민에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고하던 기존 지침을 철회하고 접종 여부를 개인 판단에 맡기는 새 방침을 공식 채택했다.
미 주요 언론 보도에 따르면, CDC는 6일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연방보건복지부 장관이 위촉한 새 백신 자문단의 권고를 수용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올해부터는 전 연령층(생후 6개월 이상)을 대상으로 한 정기 부스터(추가접종) 권고가 폐지된다. CDC는 “모든 미국인은 접종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자문단의 결론을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다만 “고령층의 경우 의사·간호사·약사 등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방침은 보건복지부 차관이자 CDC 국장 직무대행인 짐 오닐(Jim O’Neill)이 지난주 서명했고
복지부가 이날 공식 발표했다. 기존에는 감염병 전문가들의 권고에 따라 생후 6개월 이상 모든 미국인이 매년 코로나19 부스터 백신을 맞도록 권장해왔다. 이는 변이 확산에 대응해 항체 보호 효과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이 잦아들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65세 이상 고위험군 중심의 예방접종 체계 전환이 논의돼 왔다.
이런 가운데, 백신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해온 케네디 장관은 지난 5월 “건강한 아동과 임산부에게는 백신을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하고 기존 CDC 예방접종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ACIP) 위원을 전원 해임한 뒤 자신이 선임한 새 자문단으로 교체했다.
새 자문단은 모든 미국인이 개별적으로 접종 여부를 결정하되, CDC가 백신 부작용 위험을 보다 강한 어조로 명시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대해 외부 의학단체들은 “전세계적으로 수십억회 접종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이 입증돼 있다”며 반발했다. 오닐 CDC 직무대행은 이날 성명에서 “기존 지침이 의료진이 환자와 백신의 위험과 이점을 충분히 논의하지 못하게 만들었다”며 이번 변경을 환영했다.
반면 미국의 주요 의학회들은 여전히 영유아·임산부·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주도한 이번 논의가 극히 드문 부작용을 과장하고 코로나19 감염 자체의 위험성을 간과했다”고 비판했다.
오닐 대행은 또 자문단의 다른 권고사항도 승인했다. 이에 따라 4세 미만 아동의 수두 1차 접종은 홍역·볼거리·풍진·혼합백신 대신 단독 백신으로 접종하도록 권장한다.
수두·MMR을 모두 포함한 혼합백신이 존재하지만, 이 백신은 발열 및 열성경련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CDC는 2009년부터 이미 첫 접종시 단독 백신을 선호한다고 권고해왔으며 현재 영유아의 약 85%가 수두 백신을 별도로 접종하고 있다.
의학계는 이번 결정이 공중보건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와 개인의 선택권을 존중한 조치라는 평가로 엇갈리고 있다. 공공보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백신 권고를 중단하면 취약계층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부 보수 성향 단체는 “백신 접종을 강제하지 않고 개인의 판단을 존중한 변화”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