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1976년 이후 11번째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폐쇄) 사태를 맞고 있는 가운데, 미전국 51개주(워싱턴DC 포함)에서 가장 타격이 큰 곳은 워싱턴DC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셧다운은 지출 한도, 대외 원조 삭감, 의료보조금(health care subsidies) 등을 둘러싼 정치적 대립으로 촉발됐으며 2018~2019년 35일간 지속된 역대 최장 셧다운에 필적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약 90만명의 연방 공무원 이 무급휴직(furlough)에 들어갔고 70만명은 급여 없이 필수 업무를 수행 중인데, 과거와 달리 모든 직원이 사후 보수를 받을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며 일부는 영구 해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항공 교통관제·군사작전 등 필수 서비스는 유지되지만 국세청(IRS), 교육부,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주요 기관은 업무가 지연되거나 중단된 상태다.
셧다운으로 인한 경제 손실은 하루 약 4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 재정정보 분석기관인 ‘월렛허브(WalletHub)’는 최근 50개주와 워싱턴 DC를 대상으로 셧다운에 따른 피해가 가장 큰 주를 파악해 순위를 매겼다. 연방정부 관련 일자리 비율, 1인당 연방계약금액, 국립공원 접근성 등 5개 주요 지표를 종합했을 때, 워싱턴 DC가 전국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파악됐다.
워싱턴 DC는 전체 일자리의 25% 이상이 연방정부 관련 업무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주민 상당수가 장기간 급여를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DC는 1인당 연방계약금액이 5만 달러 이상으로,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관련 프로젝트 자금이 중단될 위험이 크다. 이밖에도 DC는 보충영양지원프로그램(SNAP) 수혜자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아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해당 복지기금 고갈로 생계 위기 가능성이 제기된다.
월렛허브의 칩 루포 분석관은 ““이번 셧다운은 미국민 모두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있지만 연방정부 종사자와 계약업체 비중이 높은 워싱턴 DC와 하와이, 그리고 SNAP 수혜자 비율이 높은 뉴멕시코 등은 특히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부동산 중심 지역경제를 가진 주는 모기지 승인 지연으로, 국립공원이 많은 주는 관광 수익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부연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이번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민간소비 위축, 지역경제 침체, 연방계약 지연에 따른 산업 손실 등 파급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 피해가 가장 큰 탑 10 주는 워싱턴 DC(총점 76.33점), 하와이(71.63점), 뉴멕시코(71.31점), 알래스카(70.32점), 메릴랜드(67.94점), 버지니아(59.06점),
웨스트버지니아(51.52점), 앨라배마(45.49점), 오클라호마(40.87점), 애리조나(39.98점)의 순이었다. 반면, 피해가 제일 적은 주는 미네소타(12.77점/51위), 아이오와(13.90점-50위), 인디애나(15.86점- 49위), 네브래스카(16.14점-48위), 뉴햄프셔(16.24점-47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플로리다는 13위(38.70점), 조지아 17위(35.39점), 워싱턴 21위(33.95점), 펜실베니아 22위(33.30점), 콜로라도 23위(33.13점), 매사추세츠 24위(32.91점), 텍사스 27위(31.75점), 뉴욕 35위(28.12점), 노스캐롤라이나 36위(28.08점), 캘리포니아 38위(27.21점), 일리노이는 39위(26.86점)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