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렉 애벗(Greg Abbott) 텍사스 주지사가 6일,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주방위군을 오레곤과
일리노이주에 파견했다고 밝혔다.
달라스 모닝 뉴스와 AP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애벗 주지사는 이날 오후 7시 50분쯤 SNS ‘엑스(X·옛
트위터)’에 진압 방패를 든 방위군 병력들이 비행기에 탑승하는 사진을 게재하며 “텍사스 주방위군은
정예부대(elite)이며, 언제나 출동 준비가 돼 있다(ever ready)”고 밝혔다. 다만 게시글은 병력의
구체적 파견지나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애벗 주지사는 일요일인 5일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텍사스 주방위군 400명 배치를
승인했다”고 게시했다. 그는 이 병력이 “연방 공무원과 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조치는 일리노이주 JB 프리츠커(JB Pritzker) 주지사가 “트럼프 대통령이 텍사스 병력을 일리노이,
오레곤 등 여러 주로 보내려 한다”고 비판한 데 대한 대응 성격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임기 중 반복적으로 ‘치안 악화 지역’에 병력을 투입해왔다. 그는 최근 진보 성향
도시인 오레곤주 포틀랜드를 “끝없는 재앙(NEVER-ENDING DISASTER)”이자 “제3세계 국가처럼
운영되는 도시”라고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올리며 강하게 비난했다.
최근 포틀랜드와 시카고에서는 연방이민세관단속국(ICE)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이어지고 있어
연방정부가 병력 투입을 검토하는 배경이 됐다.
그러나 오레곤과 일리노이 양 주는 모두 주방위군 배치를 막기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 오레곤주는
지난달 28일 소송을 제기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캐린 이머것(Karin Immergut) 연방지방법원
판사는 지난 5일 행정부가 오레곤 주방위군을 일시적으로 ‘연방화(federalize)’하는 것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에 행정부는 이머것 판결 직후인 6일,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 방위군 병력을 오레곤으로
보내려는 계획을 시도했으나, 같은 판사가 7일 다시 명령을 내려 “어떤 주나 연방기관 소속 방위군도
오레곤에 파견될 수 없다”고 금지했다. 일리노이주도 같은날 비슷한 내용의 소송을 추가로 제기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연방 병력과 주방위군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주·연방정부 간 충돌이 다시 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레곤과 일리노이 주정부는 “지역 치안과 공공안전은 주의 고유 권한이며 연방정부의 일방적
개입은 헌법 위반”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 측은 “연방 공무원과 시설의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맞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