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내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 둔화에 대한 비관론이 확산되면서 소비자 신뢰도(consumer
confidence index)가 9월 들어 다시 떨어졌다.
민간 경제조사기관 ‘컨퍼런스보드(Conference Board)’는 30일, 9월 소비자신뢰지수가 8월(97.8)보다
3.6포인트 낮은 94.2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보다 큰 폭의 하락이며 지난 4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당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관세 정책을 발표한 직후였다.
단기 경기전망을 보여주는 기대지수는 73.4로 떨어졌다. 이는 경기침체 가능성을 가늠하는
기준선(80)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현재 경기평가 지수 역시 전달보다 7포인트 낮은 125.4로
집계됐다.
물가와 인플레이션 관련 언급이 다시 가장 큰 경제적 우려 요인으로 꼽힌 반면, 관세 언급은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연방노동부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상승해 1월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7월 상승률(2.7%)보다도 높았다.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3.1% 올라 7월과 같은 수준을 이어갔다.
실업률과 해고 건수는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올해 들어 노동시장의 둔화는
뚜렷하다.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8월 2만 2,000명 증가에 그쳤고, 7월 고용도 7만 9,000명에
머물렀다. 더구나 5~6월 수치는 하향 수정되며 25만 8,000명이 줄었다. 실업률은 4.3%로,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다. 노동부는 8월 구인 건수가 720만건으로 7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고용 둔화 배경으로 2022~2023년 연준의 11차례 금리 인상 효과가 누적된 데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대규모·유동적인 수입관세, 불법 이민 단속,
연방정부 인력 축소 등이 기업 채용 심리를 위축시켰다는 것이다. 많은 기업이 관세 효과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고용도 해고도 하지 않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중 향후 1년내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비율은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소폭 증가했다.
자동차 구매 계획을 밝힌 응답자는 줄었으나, 주택 구매 의향은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전
등 고가 내구재 구매 계획은 전월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품목별로는 편차가 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