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30일 자정, 미국 연방정부의 예산이 만료된다. 의회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10월 1일부터 부분적 셧다운이 시작된다.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맞는 첫 셧다운 위기다.
사실 정부 셧다운은 낯선 현상이 아니다. 1976년 이후 미국은 이미 20차례 넘는 셧다운을 겪어왔다. 그러나 그 결과는 늘 비슷했다. 정치권은 강경 대립을 이어가고, 결국 국민이 불편과 피해를 떠안았다.
1995년 클린턴 시절, 공화당은 예산 삭감을 요구하다 여론의 역풍을 맞았다. 2013년 오바마 행정부 때도 공화당은 오바마케어를 무력화하려 했지만 16일간의 셧다운은 성과 없이 끝났다. 2018~2019년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에는 국경 장벽 예산을 두고 최장 35일간 셧다운이 이어졌지만, 남은 것은 경제적 피해와 정치적 손실뿐이었다.
올해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공화당은 내부적으로 갈라져 있고, 민주당은 결집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셧다운 가능성을 직접 언급한 만큼, 만약 현실화된다면 공화당이 더 큰 정치적 부담을 떠안을 가능성이 크다. 역사적 경험은 셧다운이 협상에서 우위를 가져오기보다는 오히려 정치적 비용을 키운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비용은 정치권이 아닌 국민이 지게 된다. 약 80만 명의 연방 공무원들이 무급휴직이나 임금 지연을 겪고, 국립공원과 공공 서비스가 중단되며, 행정 절차가 마비된다. 결국 셧다운은 정치적 힘겨루기의 결과물이지만, 피해는 늘 국민 몫이다.
질문은 명확하다. 셧다운은 협상의 전략적 수단인가, 아니면 국민의 신뢰를 갉아먹는 정치적 무책임인가?
역사는 이미 그 답을 말해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