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정부가 SNAP(푸드스탬프) 수혜자 전원을 대상으로 재신청 또는 전면 재검증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노스캐롤라이나(NC)에서도 제도 변경에 따른 파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는 확정된 시행 계획은 없지만, 농무장관의 공식 발언으로 인해 NC 내 지역 복지기관, 푸드뱅크, 그리고 한인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는 약 150만 명(전체 인구의 약 14%)이 SNAP 혜택을 받는 대표적 수혜주다. 특히 샬롯·그린스보로·랄리 등 대도시권에서는 저소득층과 노년층 비중이 높아 제도 변화 영향이 직접적으로 닿는다.
연방 정부가 언급한 “전 수혜자의 재신청”이 현실화할 경우,
기존 수혜자 전원이 다시 신청서를 제출하고
소득 및 가구 구성 자료를 재검증받아야 하며
서류 검토가 지연될 경우 일시적 수혜 중단 가능성
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노스캐롤라이나는 이미 모든 SNAP 수혜자에게 6개월~1년 주기 재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논의는 기존의 “정기 재인증”과는 차원이 다르다.
| 구분 | 기존 NC 재인증 | 이번 연방 발언의 ‘전면 재신청’ 가능성 |
|---|---|---|
| 대상 | 일정 주기 도래한 수혜자만 | 모든 SNAP 수혜자(약 150만 명) |
| 제출 서류 | 소득·주소·가구 정보 등 갱신 | 새 신청서 + 모든 자격요건 재확인 |
| 영향 범위 | 제한적 | 주 전체 대규모 행정 부담·수혜 지연 가능 |
특히 NC 주 복지국(DSS)은 인력 부족 문제가 장기화돼 있어, 전면 재신청이 시행될 경우 처리 지연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노스캐롤라이나 한인 커뮤니티 내에도
단독 부모 가정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자영업자
고령층
최근 실직한 가정
등이 SNAP에 상당수 의존하고 있어, 재신청 요구가 시행되면 서류 준비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다음 서류들이 재요청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소득증명(pay stubs 또는 사업 소득 내역)
은행 잔고 내역
렌트 계약서 또는 공과금 고지서
가구원 정보(학생·노약자 포함)
이 과정에서 영어 서류 제출이 필요해 언어 장벽이 있는 한인 가정은 추가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NC주 복지국 관계자들은 아직 연방 정부로부터 공식 지침을 받은 바 없다고 밝히면서도, 실제로 전면 재신청이 시행될 경우 수혜자들이 큰 혼란을 겪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지역 푸드뱅크(Food Bank NC), 샬롯의 Crisis Assistance Ministry, 교회 커뮤니티 센터들은 “재신청 요구가 갑자기 시행될 경우, 심사 지연 → 수혜 공백 → 식량 불안(food insecurity)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아직 정책 시행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들은 다음 사항을 미리 점검해둘 것을 권고한다.
1) 주소·연락처 최신화
SNAP 관련 안내문은 모두 우편 또는 문자로 발송되므로 필수.
2) 최근 소득 자료 정리
급여명세서, 자영업 소득 기록, 세금보고 자료를 미리 정리하면 유리.
3) 가구 구성 업데이트
가족 구성 변화(출생, 사망, 이사, 학생 여부 등)가 정확해야 한다.
4) 온라인 계정(EBT Edge·NC FAST) 점검
온라인 계정 비밀번호 재설정 및 연락처 확인 필요.
현재 단계에서는 “정부가 전면 재검증을 고려 중”이라는 수준이며, 즉시 시행되는 정책은 아니다.
그러나 실제 시행될 경우 노스캐롤라이나는 전체 인구의 상당수가 SNAP 혜택을 받고 있어, 행정 부담·수혜자 혼란·식료품 안정성 저하 등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연방 지침이 발표되는 대로 K-Voice가 신속히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김선엽 기자>







